라벨이 해양플랜트인 게시물 표시

美 델핀 FLNG 프로젝트: 삼성중공업의 초대형 수주 기대감

이미지
미국 델핀 FLNG 프로젝트와 삼성중공업의 수주 가능성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1. 서론: 델핀 FLNG 프로젝트의 중요성 미국 델핀 미드스트림(Delfin Midstream)이 추진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프로젝트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 프로젝트의 핵심 설비인 FLNG 건조를 두고 삼성중공업의 수주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어 국내 조선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중공업이 FLNG 분야에서 쌓아온 독보적인 기술력과 경험이 바탕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델핀 FLNG 프로젝트 개요 델핀 FLNG 프로젝트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앞바다 약 40마일(약 64km) 해상에 최대 연산 1,320만 톤(MTPA)의 LNG 생산 능력을 갖춘 FLNG를 건조 및 운용하는 초대형 인프라 사업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허가된 부유식 LNG 수출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큽니다. 델핀은 2014년 UTOS 파이프라인을 인수하고 2015년 심해항만 면허를 신청하는 등 오랜 기간 프로젝트를 준비해 왔습니다. 초기 계획에는 최대 4기의 FLNG 설치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3기 건조로 발주 규모가 조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삼성중공업의 독보적인 경쟁력 삼성중공업은 FLNG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2년 이후 전 세계에서 발주된 7척의 FLNG 중 5척을 수주하며 압도적인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경험과 기술력은 델핀 FLNG 프로젝트 수주에 있어 삼성중공업이 가장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특히, 삼성중공업은 2019년 상반기에 델핀 미드스트림 및 블랙앤비치(Black & Veatch)와 함께 신조 FLNG 선박에 대한 사전 기본설계(Pre-FEED) 연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의 사전 설계 단계인 FEED(FRONT-END ENGINE...

한화오션 FPSO 사업 확장 전략 및 전망

  서론 최근 한화오션이 '바다 위 정유 공장'이라 불리는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사업 확장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조선해양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수익성을 크게 높이려는 한화오션의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FPSO는 1기당 조 단위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를 자랑하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원으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큰 분야입니다. 한화오션은 이러한 FPSO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설 투자, 기술 개발, 조직 개편 등 다방면에 걸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한화오션의 FPSO 사업 확장 배경과 전략, 핵심 경쟁력, 시장 전망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합니다. ​ FPSO란 무엇인가? FPSO는 해저 유전이나 가스전에서 원유나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정제하여 저장한 후, 해상에서 대기 중인 셔틀 탱커(Shuttle Tanker) 등에 하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해양 설비입니다. 육상 플랜트 건설이 어렵거나 비효율적인 심해 지역에서 주로 활용되며,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즉, FPSO는 시추, 생산, 처리, 저장, 하역의 전 과정을 해상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바다 위 정유 공장' 또는 '이동식 해상 생산 기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고정식 해양 플랫폼에 비해 유연성이 높고, 생산이 종료된 유전에서는 다른 유전으로 이동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 FPSO 시장 현황 및 전망 글로벌 FPSO 시장은 에너지 수요 증가와 심해 유전 개발 활성화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러 시장 조사 기관의 전망에 따르면, FPSO 시장은 향후 몇 년간 상당한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시장조사 업체 지온 마켓리서치에 따르면, 2030년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