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LNG인 게시물 표시

미국 LNG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한국 조선업의 전략적 대응

본건은  미국 LNG 시장의 급격한 변화가 우리 조선업계에 미칠 영향과 그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매우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미국 LNG 개발 확산이 조선업에 가져올 기회와 과제, 그리고 한국 조선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상세히 논평해 드리겠습니다. 미국 LNG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한국 조선업의 전략적 대응 미국 LNG 시장이 다시 한번 '폭발적인' 성장을 예고하며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지형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안보와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라는 두 가지 큰 흐름 속에서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LNG 운반선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LNG선 건조 기술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이자 동시에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1. 미국 LNG 시장의 재부상과 그 규모  포트아서 LNG 2단계, CP2 LNG, 그리고 최근 발표된 코스탈 벤드 LNG 프로젝트 등은 총 연간 7,000만 톤 이상의 생산 규모를 자랑하며, 향후 10년간 LNG 운반선 발주량의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단순히 생산량 증대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의 핵심 축으로서 미국 LNG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8개 프로젝트가 건설 중이고 11개 프로젝트가 인허가를 완료했으며, 수십 개의 신규 프로젝트가 사전 인허가(Pre-Filing) 단계를 밟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성장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장기적인 추세임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이러한 대규모 프로젝트들은 안정적인 LNG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일환이며, 이는 곧 LNG 운반선이라는 핵심 운송 수단의 대규모 발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2. 미국 LNG 수출 전략의 고도화: 3가지 키워드 이전의 대규모 LNG 프로젝트와 달리, 최근 미국 LNG 프로젝트들은 3가지 핵심 키워드를 통해 수출 전략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LNG를...

HD한국조선해양 LNG 운반선 수주 분석 및 상세 정보

 HD한국조선해양의 최근 LNG 운반선 수주 소식과 추가적인 내용을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HD한국조선해양 LNG 운반선 수주 분석 및 상세 정보 HD한국조선해양이 최근 오세아니아 선사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4척을 수주한 것은 현재 조선 시장의 흐름과 HD한국조선해양의 수주 목표 달성 현황을 고려할 때 매우 긍정적인 소식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1. 최근 수주 부진 회복세 판단 이번 LNG 운반선 4척 수주는 총 1조 3,963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계약입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수주를 포함하여 올해 총 76척, 105억 달러를 수주하여 연간 수주 목표 180억 5천만 달러의 58.2%를 달성했습니다. -   긍정적 신호: 단일 계약으로 1조 원이 넘는 대규모 수주는 HD한국조선해양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것입니다. 이는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 운반선 시장에서의 강점을 보여주며, 향후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   목표 달성 기여: 연간 수주 목표의 절반 이상을 달성한 것은 분명한 진전이며, 남은 기간 동안 추가 수주를 통해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조선업은 특성상 대규모 계약이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대형 수주는 전체 수주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시장 상황: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와 해운 시황 변동성으로 인해 일부 선종에서 수주가 주춤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LNG 운반선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 추세와 맞물려 꾸준한 수요가 예상되는 선종입니다. 따라서 이번 수주는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의 조선업계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수주가 당장의 '수주 부진'을 완전히 해소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분명히 회복세의 중요한 신호탄이자 연간 목표 달성을 위한 강력한 추진력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다...

이중연료추진선 시장 전망 및 해운 연료 시장 변화

  이중연료추진선 시장 전망 및 해운 연료 시장 변화 ​ 1. 서론: 해운업의 탈탄소화와 연료 선택의 중요성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국제해사기구(IMO)는 해운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 환경 변화는 선박 연료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어떤 연료를 선택하느냐가 선사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Shell Marine이 "2027년이면 이중연료추진선이 글로벌 발주 시장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것은 이러한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Shell Marine의 예측을 중심으로, 이중연료추진선이 부상하는 배경, 다양한 대체 연료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관련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2. Shell Marine의 예측: 2027년, 이중연료추진선의 시대 Shell Marine의 탈탄소 총괄인 알렉산드라 에빙하우스는 최근 웨비나에서 "올 2025년 이미 이중연료추진선의 발주량이 일반 선박을 넘어섰다"고 강조하며, 2027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 선박 발주 시장이 듀얼 연료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변화의 주요 동력으로 IMO의 강화된 온실가스(GHG) 규제를 꼽았습니다. 특히 듀얼 연료 기술이 "미래의 다양한 대체 연료와의 궁합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불확실한 미래 연료 시장 상황에서 유연성을 제공하는 이중연료추진선이 현실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3. 이중연료추진선 부상의 배경 이중연료추진선이 해운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는 데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3.1. 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 IMO는 2050년까지 해운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100%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규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PURUS MARINE SERVICES LTD

영국 선주인 퓨러스 마린이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과 18만㎥급 LNG 운반선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퓨러스 마린은 이 계약 사실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기도 했습니다  이 회사의 공식 영문 회사명은 PURUS MARINE SERVICES LTD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purus.com 으로 보입니다. 여러 정보 출처에서 이 도메인을 사용하여 회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의 경우, 제가 가진 정보에서는 퓨러스 마린의 직접적인 이메일 주소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보통 회사의 공식 홈페이지에 문의 양식이나 연락처 정보가 제공되니,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소재지 주소는 영국 회사 등록 정보에 등록된 주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확인한 영국 Companies House 정보에 따르면 PURUS MARINE SERVICES LTD의 등록 주소가 나와 있지만, 전체 주소는 정보 출처에 명확히 표시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Companies House 자료에 등록된 공식 주소가 기재됩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문 회사명:  PURUS MARINE SERVICES LTD 홈페이지 주소:  purus.com  이메일 주소:  확인되지 않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필요) 소재지 주소:  영국 Companies House에 등록된 공식 주소 (Companies House 웹사이트 에서 상세 정보 확인 가능) ++++++++++++++++1 퓨러스, HD현대삼호에 LNG선 발주 영국계 선주 Purus Mar Ine이 한국 HD현대삼호 에 18만㎡급 LNG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이로써 퓨러스는 현대중공업 그룹 내 발주 선박안 총 10 척에 이른다. 단순한 숫자 확대가 아니다. 이번 선박은 퓨러스가 직접 소유하는 첫 LNG선이다. 인도는 2027년 4분기 예정. 인도 즉시 글로벌 에너지 메이저와의 장기 용선 계약에 투입...

선박 대체연료의 액화 상태에서의 부피당 발열량

선박 대체연료의 액화 상태에서의 부피당 발열량을 kcal 단위로 비교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연료의 부피당 발열량은 같은 공간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므로, 선박의 연료 탱크 크기나 항속 거리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가 가진 정보와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료의 밀도 및 발열량을 바탕으로 액화 상태 주요 선박 연료의 부피당 발열량(에너지 밀도)을 계산하여 비교해 보았습니다. 연료 종류 저장 상태 밀도 (약, kg/m³) 무게당 발열량 (약, kcal/kg) 부피당 발열량 (약, kcal/m³) 부피당 발열량 (약, kcal/L) 비고 벙커C유 (기존) 액체 950 9,560 9,082,000 9,082 기존 선박유, 높은 에너지 밀도 LNG 액화 (-163℃) 450 12,000 5,400,000 5,400 기존 연료 대비 밀도는 낮으나 발열량 높은 편 메탄올 액체 792 4,780 3,786,000 3,786 기존 연료 및 LNG 대비 에너지 밀도 낮음 암모니아 액화 (-33℃) 682 4,444  5 ,  9 3,030,000 3,030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은 편입니다 액화수소 (LH2) 액화 (-253℃) 70 28,660  9 2,006,200 2,006 무게당 발열량은 높으나 밀도가 매우 낮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가장 낮음  3 위 표의 값들은 참고용이며, 실제 값은 연료의 순도, 압력, 온도 등 저장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평균값을 사용했습니다. 1 MJ ≈ 238.846 kcal의 환산율을 적용했습니다. 비교 요약: 부피당 발열량을 비교해 보면, 벙커C유 가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LNG 가 높은 편입니다. 반면에 메탄올 과 암모니아 는 벙커C유나 LNG에 비해 부피당 발열량이 상당히 낮습니다. 특히 액화수소 는 무게당 발열량은 매우 높지만, 액화 상태에서도 밀도가 매우 낮아 부피당 발열량이 가장 낮은 특징을 보입니다. 이는 같은 ...

선박용 IGG(Inert Gas Generator) 관련 최근 소식

  선박용 IGG(Inert Gas Generator) 관련 최근 소식 IGG(Inert Gas Generator) 관련 최근 뉴스를 정리해드립니다. 1. 발맥스기술, LNG 운반선용 일체형 가스처리시스템 국산화 설계 인증 획득 일체형 가스처리시스템 개발 성공 발맥스기술이 LNG 운반선용 IGG(Inert Gas Generator)와 GCU(Gas Combustion Unit)를 통합한 일체형 가스처리시스템 개발 미국선급협회(ABS)로부터 설계 부문 인증(AiP) 획득 기술적 특징 및 장점 기존에는 IGG설비와 GCU설비가 각각 설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운영이 번거로웠음 새로운 일체형 시스템은 선박 내 공간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 국산화를 통해 수입 의존도 감소 및 비용 절감 효과 기대 2. IGGS(Inert Gas Generator System) 시장 성장 전망 시장 규모 확대 예상 IGGS 시장 규모는 2022년 1.5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2.6억 달러로 성장 전망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안정적인 성장세 예상  3. 조선기자재 업체의 기술 개발 동향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 개발 협약 발맥스기술은 조선기자재 업체 최초로 ABS사와 친환경 에너지 연료공급시스템 및 관련 시스템의 설계 부문 인증(AiP) 업무협약(MOU) 체결 이를 통해 LNG 운반선용 가스처리시스템 국산화 추진 4. LNG 운반선 안전 시스템 기술 발전 안전성 강화 기술 개발 LNG 운반선의 안전한 운항을 위한 IGG 시스템 기술 발전 화물 탱크의 안전성을 높이고 환경적 영향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 5. N2 Generator와 관련 장비 개발 질소 생성 장치 기술 발전 LNG선의 N2 generator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서 질소를 생성하는 장치로 안전성과 효율성 향상에 기여 IGG 시스템과 함께 선박 안전 시스템의 중요 구성요소로 발전 중 이상이 선박용 IGG 관련 최근 주요 뉴스입니다. 특히 발맥스기술의 일체형 가스처리시스템 개발은 국내 조선기자재 산업...

에너지 자원의 탄소 배출량 비교 - 벙커C유, 암모니아, LNG, LPG, 메탄올

 에너지 자원의 탄소 배출량 비교 - 벙커C유, 암모니아, LNG, LPG, 메탄올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와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자원의 선택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 자원들이 비교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벙커C유, 암모니아, LNG(액화천연가스), LPG(액화석유가스), 메탄올의 탄소 배출량을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1. 벙커C유 벙커C유는 주로 선박 연료로 사용되는 고점도 중질유입니다. 이 연료는 높은 탄소 함량과 황 함량으로 인해 연소 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을 배출합니다. 벙커C유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여전히 많은 선박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점차 다른 대체 연료로 전환하는 추세입니다. 2.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 연료 중 하나입니다. 암모니아 자체는 탄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암모니아 생산 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고려해야 합니다. 암모니아는 특히 해양 산업에서 벙커C유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연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LNG(액화천연가스) LNG는 천연가스를 액화한 형태로, 주로 선박과 발전소에서 사용됩니다. LNG는 벙커C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배출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천연가스의 주요 성분인 메탄은 연소 시 이산화탄소와 물만을 생성하기 때문에, 다른 화석 연료보다 깨끗한 에너지원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러나 메탄 누출이 발생할 경우 온실가스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4. LPG(액화석유가스) LPG는 프로판과 부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로, 가정용 난방 및 요리, 차량 연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LPG는 연소 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황산화물과 같은 ...

에너지 밀도 비교: 암모니아, 벙커C유, 경유, LPG, LNG

 에너지 밀도 비교: 암모니아, 벙커C유, 경유, LPG, LNG 에너지는 현대 사회의 필수 요소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닙니다. 이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는 연료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에너지 밀도는 단위 부피 또는 질량당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의미하며, 연료의 경제성과 환경적 영향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암모니아, 벙커C유, 경유, LPG, LNG의 에너지 밀도를 비교하여 각 연료의 특성과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 암모니아 (NH₃) 암모니아는 화학적으로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최근 들어 청정 연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암모니아는 탄소를 포함하지 않아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다는 점에서 환경적으로 유리합니다. 하지만 에너지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저장 및 운송에 있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암모니아의 에너지 밀도는 약 18.6 MJ/kg입니다. 2. 벙커C유 벙커C유는 중유의 일종으로, 주로 해양 선박의 연료로 사용됩니다. 높은 점도를 지닌 벙커C유는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약 40.6 MJ/kg입니다. 그러나 높은 황 함량으로 인한 환경 문제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지속 가능한 연료로서의 한계를 드러냅니다. 3. 경유 (디젤) 경유는 내연기관에서 널리 사용되는 연료로, 자동차 및 산업용 기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경유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효율적인 연소 특성을 가지고 있어 내연기관의 주요 연료로 자리 잡았습니다. 경유의 에너지 밀도는 약 45.5 MJ/kg으로, 벙커C유보다 높습니다. 4. LPG (액화석유가스) LPG는 주로 프로판과 부탄으로 구성된 액화 가스로,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LPG는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배출량을 자랑하며, 청정 연료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LPG의 에너지 밀도는 약 46.1 MJ/kg입니다. 5. LNG (액화천연가스) LNG는 천연가스를 액화한 형태로, 주로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