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탈탄소화인 게시물 표시

미래 해운의 새로운 연료, 암모니아: 세계 최초 벙커링 선박의 탄생과 K-조선의 항해!

  미래 해운의 새로운 연료, 암모니아: 세계 최초 벙커링 선박의 탄생과 K-조선의 항해! 여러분, 혹시 '탈탄소화'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산업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아마 자동차나 발전 산업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지구의 약 90%에 달하는 물류를 책임지는 해운 산업이야말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탈탄소화 혁신을 필요로 하는 분야입니다. 거대한 선박들이 내뿜는 온실가스는 생각보다 엄청난 양이거든요. 이러한 해운업계의 '탄소 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열쇠 중 하나로 '암모니아'가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이 암모니아 연료를 해상에서 공급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선박이 등장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오늘은 이 흥미로운 암모니아 벙커링 선박의 탄생 이야기와 함께, 미래 해운 산업의 지형을 바꿀 암모니아의 잠재력, 그리고 우리 K-조선이 이 변화 속에서 어떻게 나아가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왜 암모니아인가? 해운 탈탄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해운업계는 국제해사기구(IMO)의 강력한 환경 규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넷제로(Net-Zero) 수준으로 감축해야 한다는 목표는 기존의 벙커유로는 도달하기 불가능한 과제입니다. 이에 따라 메탄올, LNG(액화천연가스), 수소, 그리고 바로 '암모니아'와 같은 대체 연료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암모니아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청정 연료:  암모니아(NH₃)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어, 연소 생성물은 물과 질소 산화물(NOx) 정도입니다. NOx는 저감 기술을 통해 충분히 관리 가능합니다. 수소 운반체로서의 잠재력:  수소는 궁극의 친환경 연료이지만, 액화 온도가 극도로 낮아(영하 253도) 저장과 운송이 매우 어렵습니다. 반...

K-조선의 미래 항로: 중소·중견 기업의 글로벌 약진과 친환경 선박 인프라의 확립

  K-조선의 미래 항로: 중소·중견 기업의 글로벌 약진과 친환경 선박 인프라의 확립 세계 해운 및 조선 산업은 기술 혁신과 환경 규제 강화라는 두 가지 큰 파도를 동시에 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격변 속에서 대한민국 조선 산업은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 능력과 더불어 친환경 기술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미래를 향한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뿐만 아니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중소·중견 기업들이 국제적인 프로젝트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차세대 친환경 연료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는 소식은 우리 조선 산업의 밝은 미래를 보여줍니다. 1. 페루에 불어온 K-조선 기술의 바람: STX 컨소시엄, 해양 과학 연구 플랫폼 건조 프로젝트 수주! 대한민국의 중소·중견 기술 기업들이 연합한 STX 컨소시엄이 페루 국영 조선소 SIMA(SERVICIOS INDUSTRIALES DE LA MARINA)가 주도하는 해양 과학 연구 플랫폼 건조 사업을 수주했다는 소식은 우리 조선 산업의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기존 1997년 진수된 노후 조사선을 대체하는 차세대 과학 연구 플랫폼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며, 2027년 페루 연안의 해양 환경·수산 자원 조사 및 기후 변화 대응 연구 거점으로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번 사업은 국내외 대형 조선사들이 경쟁한 가운데, 기술력, 경험, 그리고 협업력을 바탕으로 이뤄낸 중소·중견 기술 동맹의 승리로 평가됩니다. STX 컨소시엄은 설계, 주요 자재 공급, 그리고 기술 이전(CKD 패키지)까지 총괄하는 전방위적인 역량을 선보였습니다. 설계의 심장, 한국해사기술(KOMAC):  국내 1호 조선 설계 전문회사이자 1,800척 이상의 실적을 보유한 KOMAC이 설계를 맡았습니다. KOMAC은 전남대학교 소속 ‘청경호’의 기본 및 상세 설계를 기반으로 페루 측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현지화 최적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이는...

격랑 속 항해! K-조선의 글로벌 확장과 친환경 미래 전략

격랑 속 항해! K-조선의 글로벌 확장과 친환경 미래 전략 오늘날 세계 조선 및 해운 산업은 그야말로 격변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 MRO(유지·보수·운영) 시장의 확대, 그리고 각국의 전략적 산업 육성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새로운 판이 짜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의 조선 기업들은 끊임없이 도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HJ중공업의 담대한 도전, HD현대베트남조선의 동남아 시장 확장은 물론, 일본 최대 해운사 NYK의 파격적인 탈탄소화 전략은 우리 조선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됩니다. 1. HJ중공업, 험난하지만 필수적인 '글로벌 방산' 시장 개척기 HJ중공업(구 한진중공업)은 1937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조선사로서, 한때는 완전 자본 잠식에 빠지며 위기를 겪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군함 사업을 전면에 내세워 반등의 기회를 모색하며 다시금 조선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HJ중공업은 특히 국내 유일의 공기부양식 고속상륙정 건조 가능 조선사라는 독보적인 강점을 바탕으로, 미군을 비롯해 호주, 베트남 등 다수 국가 관계자들이 부산 영도조선소를 직접 방문해 장비를 확인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HJ중공업은 고속정, 상륙정, 대형 수송함 등 함정 분야의 풀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해군 고속상륙정 전량 수주 및 MRO까지 수행하며 군함 분야 전문성을 입증해 왔습니다. 2021년에는 코프라임마린퍼시픽 인수 이후 수년간의 부진을 딛고 지난해 극적인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2024년 기준 수주잔고는 2조 6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으며, 이 중 특수선이 1조 2053억 원, 상선 7921억 원, 선박 수리 677억 원으로 구성되어 특수선 분야에서의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HJ중공업은 20조 원 규모의 거대한 미국 군함 MRO 시장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미군 MRO 협정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

탄소 가격제 시대, 해운업의 생존 전략: 효율성이 금융적 필수 요소로 부상하다

  제목: 탄소 가격제 시대, 해운업의 생존 전략: 효율성이 금융적 필수 요소로 부상하다 서론 글로벌 해운 산업은 전 세계 물동량의 약 80%를 운송하며 세계 경제의 핵심 동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상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요 산업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강화되면서, 해운업 역시 강력한 탈탄소화 압력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환경 규제가 단순한 준수 사항으로 여겨졌다면, 이제는 탄소 배출에 대한 직접적인 비용 부과, 즉 탄소 가격제가 도입되면서 해운업의 운영 방식과 비용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운 선사들에게 탄소 비용을 실질적인 재정적 부담으로 인식하게 만들었으며, 선박 운영의 효율성 개선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금융적 필수 요소로 자리 잡게 만들었습니다. 1. 해운업 탄소 가격제의 주요 내용 및 재정적 영향 국제해사기구(IMO)와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해운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EU의 배출권 거래제(ETS)와 FuelEU Maritime 규정은 해운업계에 직접적인 재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EU 배출권 거래제(ETS) :  EU 역내 항만을 입출항하는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배출권을 구매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어 2026년에는 배출량의 100%에 대해 배출권 구매가 필요합니다.   2022년 기준 EEA(유럽경제지역) 운항 선박에 대해 EU ETS가 완전히 시행되는 2026년에는 매년 약 13.45조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FuelEU Maritime :  선박이 사용하는 연료의 온실가스 집약도(Greenhouse Gas Intensity, GGI)에 상한선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벌금을 부과하는 규정입니다. 2025년부터 시행되며, 점진적으로 상한선이 강화됩니다. IMO 온실가스 연료 강도(GF...

이중연료추진선 시장 전망 및 해운 연료 시장 변화

  이중연료추진선 시장 전망 및 해운 연료 시장 변화 ​ 1. 서론: 해운업의 탈탄소화와 연료 선택의 중요성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국제해사기구(IMO)는 해운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 환경 변화는 선박 연료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어떤 연료를 선택하느냐가 선사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Shell Marine이 "2027년이면 이중연료추진선이 글로벌 발주 시장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것은 이러한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Shell Marine의 예측을 중심으로, 이중연료추진선이 부상하는 배경, 다양한 대체 연료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관련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2. Shell Marine의 예측: 2027년, 이중연료추진선의 시대 Shell Marine의 탈탄소 총괄인 알렉산드라 에빙하우스는 최근 웨비나에서 "올 2025년 이미 이중연료추진선의 발주량이 일반 선박을 넘어섰다"고 강조하며, 2027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 선박 발주 시장이 듀얼 연료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변화의 주요 동력으로 IMO의 강화된 온실가스(GHG) 규제를 꼽았습니다. 특히 듀얼 연료 기술이 "미래의 다양한 대체 연료와의 궁합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불확실한 미래 연료 시장 상황에서 유연성을 제공하는 이중연료추진선이 현실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3. 이중연료추진선 부상의 배경 이중연료추진선이 해운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는 데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3.1. 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 IMO는 2050년까지 해운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100%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규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방송대본 : 친환경 해운 시대, 혁신적인 벌커 설계가 등장하다

이미지
  친환경 해운 시대, 혁신적인 벌커 설계가 등장하다 앵커: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해운 산업 역시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그리스의 한 선사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친환경 벌커 설계를 공개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도국 연결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네, 보도국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소식은 그리스 선사인 Almi Marine Management, 줄여서 Almi가 공개한 신개념 친환경 이중연료 벌커 설계입니다. 이 설계는 특히 친환경 선박 연료로 주목받는 수소의 저장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업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앵커: 수소 저장 문제라면, 수소를 선박에 싣고 다니는 것이 어렵다는 말씀이신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수소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 같은 에너지를 내려면 액화천연가스, 즉 LNG보다 훨씬 많은 부피를 차지합니다. 또한, 액화 수소는 극저온(-253℃)을 유지해야 하므로 고도의 기술과 비용이 필요하고, 기체 수소는 고압으로 저장해야 해서 안전 문제나 공간 활용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수소 저장 및 운송의 어려움 때문에 선박 연료로의 활용에 제약이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Almi의 새로운 설계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다는 것인가요? 기자: Almi는 선박 내에서 직접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바로 '수소 리포밍(reforming)' 기술을 선박에 적용한 것인데요. 이 기술은 LNG와 같은 다른 연료를 활용하여 선박 운항 중에 필요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앵커: 선박에서 직접 수소를 만든다는 것이 흥미롭네요.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사용되나요? 기자: Almi의 설계에는 '스팀 에탄 리포밍(steam-methane reforming, SMR)'이라는 기술이 핵심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SMR은 산업 현장에서 수소를 대량 생산할 때 널리 사용되는 ...

Almi Marine Management의 신개념 친환경 이중연료 벌커 설계 보고서

이미지
    Almi Marine Management의 신개념 친환경 이중연료 벌커 설계 보고서 1. 서론 해운 산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와 전 지구적인 탈탄소화 노력에 따라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그리스 선사 Almi Marine Management (Almi)는 기존 선박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친환경 선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혁신적인 이중연료 벌커 설계를 공개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설계는 중국선박공업집단(CSSC) 산하의 선박 설계 전문 회사인 Merchant Ship Design & Shanghai Research Institute(SDARI)의 최신 64,000-dwt급 'Green Dolphin'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이탈리아선급(RINA)으로부터 기본승인(AIP)을 획득하며 기술적 타당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Almi의 신개념 벌커 설계가 가진 핵심 기술과 특징, 그리고 해운 산업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고자 합니다. 2. 신개념 설계의 핵심 Almi의 신개념 벌커 설계는 단순히 이중연료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여러 혁신적인 기술을 통합하여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 선박 개요: 이 설계는 64,000-dwt급 Ultramax 벌커를 대상으로 합니다. Ultramax 벌커는 파나막스급과 케이프사이즈급 사이의 선형으로, 전 세계 주요 항만에 기항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며 곡물, 석탄, 철광석 등 다양한 건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SDARI의 'Green Dolphin' 플랫폼은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효율적인 선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중 연료 시스템 (LNG/수소): 해당 선박은 액화천연가스(LNG)와 수소를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연료 엔진을 탑재합니다. LNG는 현재 가장 상용화된 대체 연료 중 하나로, 기존 벙커C유 대비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